티스토리 뷰
코로나19에 이어 원숭이두창이라는 새로운 감염병이 점차 확산하고 있습니다. 작년 첫 환자가 발생한 이후 13여 명 정도 (2023년 4월 17일 현재)가 발행하였고, 질병관리청은 감염병 위기경보 수준을 관심에서 주의로 격상했습니다. 전용치료제가 없다는 것이 가장 문제점으로 보입니다.
원숭이두창에 대해 예방법 치료법 및 관련주에 대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원숭이두창이란 무엇인가?
엠폭스는 원숭이두창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급성 발진성 감염병입니다.
원숭이두창은 1958년 실험실 사육 원숭이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1970년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인체감염 첫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2022년 유행 전까지는 중앙아프리카 및 서부 아프리카의 농촌 열대우림지역에서 주로 발생하는 풍토병이었습니다.
2022년 5월 이후 유럽과 북미를 중심으로 다수국가에서 풍토병지역과 연관성이 없는 감염사례가 이례적으로 유행하여 환자가 증가하고 발생지역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원숭이두창 증상 및 치명률
원숭이두창이 감염이 되면 1~2주간의 잠복기를 지나 ‘38℃ 이상의 급성 발열, 두통, 근육통 및 피로감 등’으로 시작되어 1~3일 후 얼굴을 중심으로 발진증상이 나타납니다.
원심형으로 신체 다른 부위로 확산하고, 림프절 부종이 주요 증상으로 나타나며 증상은 보통 2~4주간 지속됩니다.
원숭이두창의 치명률은 일반적으로 약 1~10%로 알려져 있으며, WHO에 따르면 최근 치명률은 3~6%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한국 원숭이두창 발생환자수
2023년 4월 17일 현재 엠폭스 발생자는 11~13번째 확진자가 발생했다고 질병관리청이 발표하였습니다.
원숭이두창 감염경로 및 잠복기
질병분류
법정감염병 : 제2급 감염병 (2022.6.8 지정 고시 시행)
감염경로
인수공통감염병으로 원숭이두창 바이러스에 감염된 동물(쥐, 다람쥐, 프레리도그와 같은 설치류 및 원숭이 등), 감염된 사람 또는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질과 접촉할 경우 감염될 수 있으며, 태반을 통해 감염된 모체에서 태아로 수직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잠복기
5~21일(평균 6~13일)
원숭이두창 치료
원숭이두창은 상용화된 특별한 치료제는 없으며, 대부분 자연치료가 되거나 원숭이 두창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열, 염증, 기침 등 증상에 대한 처지가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감염된 사람은 격리 입원하여 증상에 따른 대증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국내에는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항바이러스제와 면역글로불린이 확보되어 있으며, 치료를 위한 항바이러스제인 테코비리마트 도입하고 있습니다. 미국 제약사 시가테크놀로지가 개발한 테코비리마트는 엠폭시 치료 목적으로 미국, 유럽, 캐나다에서 정식 승인을 받았고 유럽 내에서는 엠폭스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제로 알려져 있습니다.
국내에는 504명분의 테코비라마트가 비축되어 있으며, 백신은 3세대 두창 백신 진네오스를 확보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현재 국내에서 엠폭스 관련 백신과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곳은 HK이노엔, 현대바이오사이언스 등이 있습니다.
원숭이두창 감염경로
엠폭스 감염경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피부병변 부산물) 감염된 사람‧동물의 체액, 피부·점막 병변(발진, 딱지 등)에 직접 접촉
2. (매개물) 감염된 사람‧동물이 사용한 물건, 천(의류, 침구 또는 수건) 및 표면에 접촉
3. (비말) 호흡기 분비물(코, 구강, 인두, 점막, 폐포에 있는 감염비말)에 접촉
4. (기타) 태반을 통해 감염된 모체에서 태아로 수직감염 * 추가로 접촉을 통해 감염된다고도 하고, 비말 전파도 가능하나 가능성이 낮고, 무증상 감염 전파 근거는 확인된 바 없습니다.
원숭이두창 예방법
예방백신 미 FDA, 유럽 EMA에서 두창 및 엠폭스(원숭이두창) 예방 목적으로 허가된 3세대 두창백신을 도입하였습니다. 노출 전 접종은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노출 가능성이 높은 실험실 요원, 치료병상 의료진, 역학조사관 등이 대상이 되며, 노출 후 접종은 확진자와 접촉 강도가 중위험 이상인 노출자가 접종 대상이 됩니다.
일반인 대상 접종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예방을 위한 주의사항 엠폭스(원숭이두창)에 감염된 사람, 감염된 동물(원숭이 및 설치류 등), 또는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질과 접촉할 경우 감염될 수 있으므로 다음을 주의합니다.
① 감염된(감염의 위험이 있는) 사람 또는 동물과의 직‧간접적 접촉을 피합니다.
② 감염된 환자가 사용한 물품(식기, 컵, 침구, 수건, 의복 등)과의 접촉을 피합니다.
③ 비누와 물로 손을 자주 씻거나 알코올 성분의 손 소독제를 이용합니다.
[ 원숭이 두창 발생국가 확인하기 (2023년 3월 15일 버전)]